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프로필
  • 글쓰기
  • 관리자
  • 방문통계
  • 분류 전체보기 (49) N
    • 포토에세이 (12)
    • 로컬 탐방 (1)
    • 조선십승지 우복동 이야기 (10)
    • 백두대간 트레킹 (2) N
    • 로컬 브랜딩 (5)
    • 독서노트 (19)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백두대간 트레일과 트레킹을 돌아보며..

    2025.05.18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장거리 트레일로서의 백두대간, 그 가치와 브랜딩 방안

    2025.05.18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정원의 황홀, 그리고 나의 공간?

    2025.05.18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더 이상 갈 수 없는 <상무주 가는 길>

    2025.05.18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불편한 편의점>과 서울의 옛 동네 청파동

    2025.05.16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나를 부르는 숲>에서 다시 백두대간을 느낀다

    2025.05.16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2025.05.16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이 지구를 구할 수 있기를..

    2025.05.16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백두대간 트레일과 트레킹을 돌아보며..

대구에 있는 계성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25년에서 45년 전후의 선후배 20여 명에서 많게는 50여 명이 매년 봄과 가을에 한 번씩 캠핑을 한다. 과거의 즐거웠던, 힘들었던 추억을 기억하며 각자의 삶을 잠시 내려놓고 고등학교 재학 시의 캠핑 느낌으로 돌아간다. 과거를 소환하는 즐거움은 그 나름의 가치가 있지만 그동안 캠핑에서 한 가지 아쉬움이 있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대원들 각자 열심히 인생을 살아오면서 다양한 도전을 하고 그에 따른 색다른 이야기가 무궁무진한데, 대부분 술자리의 가십거리로 끝났다. 그냥 친교와 추억만 되새김하는 캠핑에서 공식적인 세미나 형식을 빌어 각 자의 삶 속에서 터득한 노하우와 전문성을 공유하면 얼마나 좋을까? 재미난 이야기가 있는 시간을 통해 발표자는 자기의 생각을 한번 정리..

백두대간 트레킹 2025. 5. 18. 01:23

장거리 트레일로서의 백두대간, 그 가치와 브랜딩 방안

백두대간은 한민족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한반도에 살아왔을 수많은 우리의 조상들의 마음속에 있던 백두대간이 현재 우리들의 삶 속에 살아 있다. 그냥 바라볼 것인가, 보존할 것인가, 이용할 것인가, 개발할 것인가 등 다양한 논의들이 있었다. 이에 대해 나 역시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에 대한 관심이 많다. 한때 녹색회 활동을 했었고, 녹색연합에 후원도 하고, 중학교 때부터 대학교까지 보이스카우트를 했다. 현재도 그 선후배들과 캠핑을 즐기고, 지구에 미안하고, 흔적을 남기지 않고 자연을 이용하는 BPL와 LNT, 그리고 백패킹 윤리를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마케팅과 브랜딩을 전문 영역으로 컨설팅과 연구를 하는 사람으로서 미약하나마 국가 브랜딩 차원에서 대한민국의 미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일조할 수 ..

백두대간 트레킹 2025. 5. 18. 01:13

정원의 황홀, 그리고 나의 공간?

, 윤광준 저 | 아트레이크 | 2024 "사람들은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은 이해하지 못하고 보이지 않으면 믿지 못한다."저자는 “사람들은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은 이해하지 못하고 보이지 않으면 믿지 못한다.”라 한다. 그리고 남아 있는 흔적을 복원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명소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저자 윤광준 작가는 나의 첫 번째 사진 스승이다. 북촌 공간썬더에서 출간 기념 사진전에서 다시 뵈었다. 여전히 예술적 아우라를 뽐내고 있었다. 왕성한 활동에 훤히 꿰뚫는 통찰은 여전하다.이 책에서 다룬 정원 중에 담양 소쇄원은 2009년 사진공부를 할 때 말씀하셨던 곳이기도 했고 당시 광주 출장길에 한번 방문한 적이 있다. 그때는 보이지 않았던 것을 이 책을 따라가며 필름을..

독서노트 2025. 5. 18. 00:44

더 이상 갈 수 없는 <상무주 가는 길>

, 김홍희, 불광출판사, 2018. 봄 속에 있어도 봄을 모르는 이에게는 실로 봄은 내내 오지 않는 계절일 뿐이다. 어떤가? 당신의 봄은 아직 살아있는가? 사진가 김홍희 작가의 사진과 필력을 다시 느끼며 음미하고 또 음미하는 시간이었다. 개인적으로는 15년 전 처음 사진 공부를 하면서 만난 스승님이기도 하다. 다큐멘터리 사진의 정수를 알려주셨지만 미력하여 잘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한 장 한 장의 사진과 한 자 한 자의 글자에 녹여진 순간과 생각을 엿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 인생도 공부가 필요하고 사진도 공부가 필요하다. 저자가 이야기했듯이 이 책에 소개한 암자를 찾아가서 동일인 화각으로 촬영하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든다. 또한 더 이상 갈 수 없는 가장 높고 고귀한 곳이 바로 상무주요 암자이니 멀리 ..

독서노트 2025. 5. 18. 00:42

<불편한 편의점>과 서울의 옛 동네 청파동

, 김호연 저, 나무옆의자, 2021. [전자책, 밀리의서재].결국 삶은 관계였고 관계는 소통이었다. 행복은 멀리 있지 않고 내 옆의 사람들과 마음을 나누는 데 있음을 이제 깨달았다.인생과 삶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한다. 소설의 묘미가 느껴졌다. 체험해보지 못한 어떤 상황들을 머릿속으로 그려보고 그 속으로 푹 빠졌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삶 속에서 치열하게 일어나는 갈등과 고민이 나 역시 비슷비슷한 상황들이 있다는 생각에 공감이 된다. 소설 내용에 나를 투영해 본다는 점이 한편으로 나를 반추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갈등이 깊어진 가족과 어떻게 대화해야 할지 모를 때 주인공인 독고 씨가 “손님한테 하듯・・・・ 하세요.”라고 말했다. 어쩜 이런 통찰이 일어났을까? 물론 주인공이 아직 자신..

독서노트 2025. 5. 16. 23:03

<나를 부르는 숲>에서 다시 백두대간을 느낀다

, 빌 브라이슨(Bill Bryson) 저, 홍은택 역, 까치(까치글방), 2018.원서 : A Walk in the Woods, 1997. 우리는 3,520킬로미터를 다 걷지 못한 것은 사실이지만, 여기에 한 가지 유념해야 할 것이 있다. 우리는 시도했다. 우리는 애팔래치아 트레일을 걸었던 것이다.다시 산에 가고 싶다. 다시 백두대간을 걷고 싶다. 이런 욕망을 다시 일으킨 책이다. 이 책은 미국의 3대 장거리 트레일인 애팔래치아 트레일(AT)을 섹션 하이커로 종주한 저자의 기행문이자 경험담을 유려하고 재미있는 필체로 서술한 에세이다. 더하여 숲과 애팔래치아 트레일, 그리고 그 주변의 여러 이야기들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종주하는 코스에 따라 기술되어 있다. 3,360킬로미터의 애팔래치아 트레일 종주는 대단..

독서노트 2025. 5. 16. 23:01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 최재천, 효형출판, 2022.생명이 있는 것은 진정 다 아름답습니다. 생명, 살아 있는 모든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을 읽기 이전에는 깊이 고민해본 적이 없었는데 이 책을 읽으며 자연스럽게 자연과 생명의 경이로움을 알게 되었다. 개미의 세계를 관찰하는데 익숙하지 않지만 우복동(문경 농암 내서리)의 자그마한 터전에 수없이 많은 개미를 보면서 그 생명의 위대함을 느끼게 되었다. 나 역시 현재는 생명이 있지만 영원한 것이 아닌 언젠가 사라지게 된다는 자연의 이치를 새삼 느끼게 되었다. 이 책의 초판이 나온 지 20년이 지났지만 지금 읽어도 시대에 딱 맞는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자연과 생명은 떼어 놓을 수 없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면밀히 관찰하고 연구한 동물행동학자의 통찰력으로 조금이나마..

독서노트 2025. 5. 16. 23:00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이 지구를 구할 수 있기를..

원제 : How to Avoid a Climate Disaster: The Solutions We Have and the Breakthroughs We Need Hardcover – February 16, 2021.by Bill Gates (Author)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면 우리는 기후변화가 초래할 재앙을 피할 수 있다. 이것이 내가 기후변화와 대응 기술을 공부하면서 느낀 점이다. 지구와 자연과 환경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기후변화에 대해 보다 근본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것 만으로도 나에게는 충분한 가치가 있는 책이다. 이 책은 번역자인 김민주 대표께서 출간 시점에 정치인들이 원전 찬성과 반대에 대한 논쟁의 대상으로 이 책을 거론..

독서노트 2025. 5. 16. 22:5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7
다음
Profile
스토리그래퍼의 뜻밖의 발견 © 2025. KOOJARYONG.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