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프로필
  • 글쓰기
  • 관리자
  • 방문통계
  • 분류 전체보기 (50) N
    • 포토에세이 (12)
    • 로컬 탐방 (1)
    • 조선십승지 우복동 이야기 (10)
    • 백두대간 트레킹 (2) N
    • 로컬 브랜딩 (5)
    • 독서노트 (20)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독서노트

  •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전영수

    2023.01.28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지역재생의 진실>과 내생적 발전

    2023.01.20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지역을 살리는 로컬 브랜딩>, 김영수 외

    2023.01.19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 강형원

    2022.12.27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전영수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전영수, 블랙피쉬, 2022. “미래를 읽는 눈은 결코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체계적 훈련과 끈질긴 사고는 물론 지적 호기심과 열정이 필요하다. 또 추측보다는 예측이 좋다.” “숫자의 양적 변화만큼 기호의 질적 변화도 인구 변화의 핵심이다.” 이 책은 저자가 서문에 밝혔듯이, “인구 변화의 현실과 본질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더불어 인구 변화발 트렌드를 포착해 개인과 조직의 미래를 열어젖히는 쓸모 있는 참고 자료”다. 인구 트렌드는 인구의 변화, 즉 추세 혹은 경향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인구 변화에 대한 어떤 대책을 기대하는 것은 주제에서 벗어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는 다양한 대책을 소개하고 있다. 물론 구체적인 방법은 아니다. 아이디어를 얻기에는 충분하다. 인구 변화..

독서노트 2023. 1. 28. 19:55

<지역재생의 진실>과 내생적 발전

지역재생의 진실, 정윤성, 씽크스마트, 2022. 자기 지역에 긍지를 가지고 독자적인 문화, 정체성을 쌓아가며 ‘로컬 브랜드’를 만들어내는 노력이야말로 지역 재생의 ‘본령’이다. 이 책에서 다룬 지역 발전과 관련한 대부분의 사례는 일본 사례다. 저자가 일본에 방문연구원으로 갖었고 인구소멸과 지역재생을 먼저 경험한 일본을 고려한다면 어쩌면 당연한 선택 같다. 하지만 독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사례를 접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또한 내발적 발전에 대해 많이 언급되어 있는데 용어가 익숙하지 않다. 검색을 해보니 국내에서는 이 용어를 내생적 발전으로 사용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많았다. 저자는 “세계적인 창조도시로 알려진 가나자와, 지방부활의 아이콘 아마쵸, 70년대의 모습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는 전통시장 쇼와노..

독서노트 2023. 1. 20. 00:31

<지역을 살리는 로컬 브랜딩>, 김영수 외

지역을 살리는 로컬 브랜딩, 김영수, 정의홍, 김우현, 이성일 저, 클라우드나인, 2018. 로컬을 브랜드화하거나 새로운 로컬 브랜드로 리포지셔닝 할 때는 항상 그 브랜드 가치 내지 브랜드 정체성이 새로운가(new), 경쟁 로컬과 다른가(different), 그 로컬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자원이 지속가능한가(sustainable), 그리고 고객들에게 타당한가(relevant)를 점검해 보아야 한다. 이 책에는 기업 브랜딩과 도시 브랜딩에 참여했던 저자들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제시한 사례에는 실제 수행한 프로젝트도 있다. 브랜딩과 마케팅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지만 처음 브랜딩을 접하는 사람들은 전문용어 때문에 독서가 힘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만약 로컬에..

독서노트 2023. 1. 19. 00:34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 강형원

, 강형원, 알에이치코리아(RHK), 2022. 이 책은 사진으로 보는 문화유산, 글로 읽는 문화유산, 이 둘을 함께 보고 느낄 수 있는 포토저널이다. 저자 강형원은 미국으로 이민 간 사진기자이며, 퓰리쳐상을 수상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저자는 한국인으로 한국 문화유산에 대한 깊은 통찰을 사진으로 설명한다. 소개된 대부분의 내용은 대체로 알고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사진과 글로 다시 보니 새삼 역사공부가 되고 문화적인 자긍심을 느끼게 한다. 저자의 의도가 이런 것일 것이다. 다만 한국인으로 한국에서만 살아온 나에게는 익숙한 내용이다. 저자의 명성으로 책을 구매했다. 사진이 독특하다거나 글이 재미있다거나 하는 것은 찾아보기 어렵다. 좀 특별한 뭔가를 원한 나의 선택이 잘못된 것이다. 문화유산과 사진을 결합하..

독서노트 2022. 12. 27. 00: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Profile
스토리그래퍼의 뜻밖의 발견 © 2025. KOOJARYONG.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